통일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통일이후의 통일을 준비하는 사람들, 꿀통

꿀통

안녕하세요! 10기 통일부 대학생 기자단 유니콘 김하은, 원준석 기자입니다.

저희는 이번 ‘2017 통일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꿀통’팀의 홍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꿀통'팀과 지난 8월 중순에 만났는데요. 지금부터 '도시 양봉' 이라는 다소 생소한 사업을 통해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꿀통'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통일이후의 통일을 준비하는 사람들, 꿀통

회의중인 꿀통팀의 모습회의중인 꿀통팀의 모습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우선 '꿀통'의 구성원을 소개하겠습니다!

'꿀통'은 총 3명으로 구성되어있는데요, 바로 신지수, 한신, 그리고 이영민 (가명)입니다! 우선 팀의 리더인 '신지수' 씨는 인하대학교 법학전문 대학원 재학 중이며, 졸업 후 남북경제협력 상사중재 1호 변호사를 꿈꾸는 청년입니다. '한신'씨는 신지수 씨와 함께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졸업 후 법원에서 통일 법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통일 한반도의 입법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법제 연구원을 꿈꾸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영민' 씨는 누구보다도 북한의 실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탈북민 출신 대학생입니다. 이처럼 저마다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만난 '꿀통'인데요. 이제부터 꿀통이 준비하는 통일한국을 위한 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꿀통이 준비하는 통일이후의 '통일'

통일 후의 대한민국,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평소에 북한과 통일에 관심이 있던 꿀통 팀원들은 스스로를 ‘통일 이후의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들은 남한의 북한에 대한 일방적 원조가 아닌, 남북한 주민들이 함께 협력하여 통일과정에서 발생한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정서적인 통일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꿀통은 통일 이후의 '진짜' 통일을 고민한다고 합니다.

도시시생태환경에 대한 무관심 식물자원 고갈,환경문제,통일한국의사회문제,경제문제,시장경제체제 적응의 어려움 배급중단으로 인한 생계위기

그렇다면 꿀통의 구체적 사업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꿀통은 통일 이후 한국에서 무엇보다 북한 사람들의 수요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북한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생각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좋은 사업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계획을 세우고 꿀통은 북한이틀주민과 직접 만나 북한의 현황 및 북한 사람들의 수요를 조사하였습니다.

고구려 테마파크 3D 그래픽 모형도고구려 테마파크 3D 그래픽 모형도

북한 주민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수요를 탐구하면서 꿀통은 사업에 있어서 두 가지 키워드를 뽑았습니다. 그것은 바로 환경 문제북한 사람들의 경제적 자립 문제였습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할 때 진정한 통일 한국이 세워질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이 키워드를 설정하고 나니 10여 가지의 사업 아이템 후보들이 떠올랐다고 합니다. 교육, 청소 스타트업 등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꿀통은 도시 양봉에 주목했습니다.

양봉, 꿀벌, 도시양봉이란?

(주)끌통 도시양봉사업, 양봉교육 생산과확장 체험학교,생산부터 수확까지 구성원 모두가 직접 참여하는 체험형/참여형 교육,현지주민을 양봉농가 및 전문양봉사로 육성,생산 및 유통공정의 전 프로세스에 북 한주만들이 직접 참여,생산/유통/교육 인프라 구축 ,단순 투자에서 체험학교 MD 개발 등을 통한 수익구조 개선 및 확장,주밀양봉학교를 운영하여 사업 홍보 효과 확득,양봉체험에서의 통일시민 간 교류의 장 마련,사업에 참여하는 북한주민들이 양봉교육프로그램에 체험학교 교사 등으로 활동하면서,냉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수입의 불안정성 해소

'도시양봉'이란 말 그대로 도시에서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꿀벌을 기르는 것입니다.

세계적으로 도시양봉이 시작된 이유는 '꿀벌군집붕괴현상' 때문입니다.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꿀벌군집붕괴현상은 꿀과 꽃가루를 채취하러 간 일벌이 둥지로 돌아오지 않아 여왕벌과 애벌레들이 집단폐사 하는 현상입니다. 이와 더불어 꿀벌 에이즈라고 불리는 '낭충봉아부패병 (sacbrood)'의 확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꿀벌의 군집 수가 급감하였고, 이로 인해 꿀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게 되면서 세계의 여러 도시에서 도시양봉이 시작되었습니다.

도시양봉은 '도시'라는 장소적 제약으로 인해, 초기엔 꿀벌에 관심이 있는 개인이 취미나 시민운동의 경향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점차 여러 도시로 전파되고 다양한 사회구성원이 '도시양봉사업'에 참여하면서 최근엔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교육, 지역민의 일자리 창출, 도시 생물의 다양성 회복, 심리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양봉, 꿀벌, 도시양봉이란?

(꿀통의 도시양봉 교육구상)(꿀통의 도시양봉 교육구상)

통일한국을 위한 도시양봉사업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은 사업을 구상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고 결과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표본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진출처 : http://www.nationalhoneybeeday.com)(사진출처 : http://www.nationalhoneybeeday.com)

미국과 유럽의 도시양봉 (사진출처 : modern farmer, European evironment Agency, )미국과 유럽의 도시양봉 (사진출처 : modern farmer, European evironment Agency, )

영국의 경우 커뮤니티, 일본은 도시농업, 덴마크는 일자리 창출, 캐나다는 호텔 등의 기업 캠페인,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경우 문화와 예술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양봉사업을 이미 진행했고 이에 따른 많은 연구와 성과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통일한국의 실상에 맞추어 최적화된 사업을 구상할 수 있습니다.

꿀통은 통일한국의 도시양봉 형태를 사회적 기업의 형태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수익성 및 효율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제로 도시양봉 사업은 사회적 기업, 지자체, 공공기관, 협동조합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꿀통의 도시양봉은 단순한 수익성이 사업이 아닌 산림녹화와 경제적 자립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꿀통은 통일한국에서 도시양봉사업을 통해 산림이 황폐화된 북한의 대도시 인근부터 산림녹화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 북한지역의 주민들이 도시 양봉을 하면서 도시 생태계가 순차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자리 창출,도시양봉 시업은 장기적인 전문교육 등이없이도 광범위한 북한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북한 지역경제의 기반 확보 및 경제활성화,지역단위의 도시양봉이 활성화되고 각지멱별 생산및가공 유통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경제의 성장을 축진할 수있음,북한 도시들의 생태화 및 환경오엽 수복,도시양봉이 확대될 경우,도시의 녹지화를 촉진하고 다양한 동식물들이 도시로 다시돌아오게 하는 역할이 기능해짐 이들 중심으로,점점 나부와 꽃이증기하고 도시뿐아니라 황폐화된 북한지역 전반의 식물 생장도 촉진되어 생태환경을 전빈적으로 개선

최근 꿀통 팀원들은 일주일에 2, 3번 정도 만나 의견을 주고받는다고 합니다. 사업 내용과 구체적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기획한 상황에서, 요즘은 전시회 관련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최종 전시를 할 때 필요한 디자인과 수익성 부분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공익적 부분이 중요하긴 하지만 사업성도 무시할 수 없기에 수익성 측면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방안들이 고안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꿀통 팀은 통일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나'가 아닌 '우리'가 중심이 되는 마음가짐이라고 하였습니다. 통일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이나 경제적인 이익보다는 남-북한 주민들이 공존하고 상생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이에 맞춰 준비해나갈 때 비로소 통일 이후의 통일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통일창업아이디어 공모전, 지난해보다 더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업들이 준비되고 있어 정말 기대가 많이 되는데요. 하지만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와 사업구상보다 가장 중요한 건 꿀통 팀원들의 말처럼 '우리'가 중심이 된 통일한국에 대한 소망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상 제10기 통일부 대학생기자단 유니콘 김하은, 원준석이었습니다.

<참고자료>

꿀통팀 제안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2016. vol. 191.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07

통일준비위원회 경제분과, 남북 농업협력으로 여는 북한농촌 발전의 길 - 복합농촌단지 협력에 길을 묻다, 통일준비위원회, 2014. 11. 2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현황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06.09

김성훈, 김용헌, 한국의 대북한 농업개발지원의 6차 산업형 민관협력 모델 연구, 통일과 평화(7집 2호), 2015

제10기 통일부 대학생기자단 유니콘,김하은 성균관대학교 경영학,haeun047@naver.com 통일부

제10기 통일부 대학생기자단 유니콘,원준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hpmoe123@gmail.com 통일부

통일 이후의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꿀통'팀을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