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 통일을 왜해~
통일에 대한 물음표를 느낌표로 시원하게 바꿔줄 프로그램
통일 what’s
up
통일왓삼
(오늘따라 유난한 텐션)
요즘 진짜!!
통일에 대한 ?를 ! 로
바꿔가는데~
가영에게 느낌표의 순간은?
통일에 대한 느낌표를 떠올렸던 순간!!
지난번에 파주에서
우리가 여러가지 생각을 했었는데
파주 평화누리공원을 떠올리는 가영?!
향수 선물
기억나죠?
(무슨얘기 하려고)
이산가족분들이...
(공 감)
고향을 느끼기 위해서 향으로
만들었다는 얘길 듣고 너무 뭉클했었고
통일에 대한 느낌표를 떠올릴 수 있었어요
가영에게서 느껴지는
어른미(?)
가영 머리에 흰띄 동여맨
(난 예능인ㅋ)
아무 생각 없이
방송을
하셨는데
(민망)
많은 생각을 하시는거 같아요
#통일왓삼_첫회
#김가영에게
#통일이란?
#성장하는 MC김가영 인증ㅋ
메뉴 통일, 김밥, 김밥 통일, 떡복이 통일
오늘 모실
분들은요
오늘의 게스트는 어떤 분일까?
남북을 함께 연구하는 분들입니다.
남북산림협력센터 김원중,
채요한 님입니다~
환영합니다~
아니... 그런데 이분은... 레옹?
화분의
정체?
남북산림협력센터 마스코트!!
[김원중 산림청 남북산림협력팀장 ]
[채요한 철원
남북산림협력센터장 ]
네~ 반갑습니다.
남북산림협력센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요?
오늘의 토크
주제
남북의 산림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소개에 앞서서...
질문
타임?
(움찔)
(긴장)
경기도 파주, 강원도 철원, 강원도 고성
이 지역의
공통점...?
승부욕 어쩔
되게 빠르시다...
과연 정답...?
북(?) 쪽에
있다...?
아... 네!
(눈치보는)
북쪽이 맞긴한데...
정답
인가요?
머뭇
반은 맞혔.. ㅎㅎㅎ
(이것도?)
‘맛집이 많다?’
그것도
정답입니다
(그럼 이것도 맞음?)
‘철원, 고성은 추워요’
(이 사람들 맞히긴
틀렸다...)
지금 표정이... 안좋아 지셨어요ㅎ
진짜 정답을 알려드리자면!
이 세 지역은 남과
북이 교류가 이뤄졌을 때 중요한 거점지, 교통로가 되는 지역입니다.
남북산림협력센터는 이곳에
있고요
남북산림협력센터
2018년 남북산림협력에 대한 남북간 합의를 통해
한반도 산림생태 복원에
필요한 묘목의 생산과 비축,
산림경영을 위한 기술 연구 개발로 남북교류의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
Q.
한반도의 산림상태는?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산림자원수탈이 심했어요
6.25 전쟁을 겪으면서 산림의
50%가 민둥산이었거든요
5,60년대에도 산에서 나무를 베어서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고요
이 정도면 산에
나무가 남아 있는 게 신기할 정도...
혹시... 기억하세요?
전 국민이 산에 나무를 심었던
‘국토녹화운동’
국...토?
국토녹화운동
풉... 아세요?
(그저 웃지요)
나무는
식목일에만...?
치사녹화계획 (국토녹화운동)
1973~1997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온 국민이
묘목을 길러서 남한 면적의 25%에 달하는 산림을
복구하고 가꾸었던 범국민 조림운동
나무 좀 심어
봤어요?
잘 모름
창희의 출생 전
적극적인 산림보호와 산림녹화사업의 결과로 지금의 ‘아름다운
강산’을 갖게 된 한국
또 UN이 꼽은
빠른 시간 안에 녹화에 성공한 유일한 나라
그러고보면 지금은
어딜 가도 나무를 볼 수 있는데...
쉽게 말해 탈모가 없는 산!!?
Q. 북한의 산림은
어떤지?
북한은 사실... 산림의 28%가 황폐화
면적을 따지면 서울시의 44배 정도
(심각
하네)
‘고난의 행군’ 들어보셨죠?
(알죠)
90년대 중반까지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요 식량이
부족하다 보니까 산에 나무를 베고 산지를 개간해서 다락밭을 만들기도 하고요
밭을 만들어서 농사를
짓고...
산림의 황폐화가 심각한 상태인 것 같은데...
Q. 북한의 산림문제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과 북이 산과 산림은 생태적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마치 우리나라 지도에서 백두대간 능선이 연결된
것처럼
산에 나무가 없으면 생기는 일
산사태나 토사유출, 하천 범람, 산림병해충
미세먼지,
온실가스도 함께 문제
저 건물이 남북산림협력센터인 거죠?
묘목을 얼마나 키우고 있나요?
철원과 파주
각각의 센터에도 역할이 있는데...
파주센터 _ 스마트양묘장에서 죄대 200만 그루의 묘목 생산
철원센터 _
DMZ 접경지역 등 남북을 오가는 산림병해충 관측과 기술개발
파주센터의 경우에는 실제로 북한에 지원을 하는 묘목을
생산을 하고 종자를 구축하는
제가 있는 철원 센터의 경우에는 묘목 생산도 하고 있지만 기술연구 계발이 주
목적이라서요
DMZ접경지역에서 남과 북을 오고가는 산림병해충을 같이 연구해서 기술 계발하고 있습니다.
(산에
나무가 그냥 자라는 게 아니었구나)
어릴 때 배운 적이 있지만 남북 산림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와 산림 황폐화를 막는
나무도 궁금해요
많이들 생각하는 오해 ‘남과 북의 기후는 다르다?’
한반도 전체가 온대기후의 특성을 가지고
그 특성에 맞게 나무가 자라고 있고 한반도의 산림황폐화를 막기 위해서
척박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아까시,
싸리나무...
‘아까시’?
(모를 땐 가만히 좀)
보통 ‘아카시아’라고 부르는 그
나무
아까시~~
(입력 완료)
황폐화 막는 아까시나무, 싸리나무를 많이 심고~
양지에서 잘
자라는 포플러~
포플러 하면 자동... !
(혼자 신나)
포플러~ 나무아래~
무슨
노래요?
몰라요?
화들짝? 이예린 씨 몰라요?
(나도 아는데)
이해리 &
강민경
에이~
알면서 모른 척 하는 거 아냐?
(제가 끊어 드릴게요~)
포플러나 소나무
외에도 북한에서는 식량난 해결을 위해
밤, 잣, 대추, 은행 같은 유실수 약재로 쓰이는 마가목도 선호
밤나무
같은 유실수는 먹을 수 있고 산림도 지킬 수 있고 좋네요~
Q. 일반인들의 방문체험이 가능한지?
묘목을
길러내기 위한 시설로 스마트양묘장을 설치해뒀어요.
어떤 식으로 나무를 길러내는지 견학 형식으로 체험할 수
있어요.
남북협력센터에서 만날 수 있는 묘목
살아 있는 거죠?
어쩜 이렇게 이뻐요?
색이
너무 이쁘다~
(보기만 해도 기분 좋은)
돼지꼬리
낙엽송
소나무예요?
(소나무
맞음)
보통 산림녹화사업에서 주로 쓰이는 수종
이렇게 조그마한데... 커요?
얼마나?
엄청~
(귀엽기만 한데)
(만만히 보면 안 돼요~)
이래뵈도 10년
후엔...
(뚫리나 보게) 여기 두고 가세요!!
MC 가영을 위한
선물이래요~
나는!!!
나는!!
(아이 좋아)
저도 좋아한단 말이에욧!!
직접
가서 받아와요~
(수습하는 팀장님)
그럼 이건 선물로 드리겠습니다.
(잘 키워볼게요~)
꼭
필요하고 중요했던
남과 북의 산림이야기에 많은 관심 바라며!!
이제 마쳐야 할 시간!!
통일에 대한
?를~ ! 로~
통일왓삼은 다음 주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