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일부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

메뉴시작
주메뉴 닫기
검색하기
통합검색
주메뉴 버튼

통일부소식

보도자료

본문영역

보도자료

통일 및 대북문제 관련 여론조사 결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자
이지숙
작성일
2011-03-31
조회수
29679
주관부서 :

통일 및 대북문제 관련 여론조사 결과

 


□ 우리부는 리서치&리서치에 의뢰하여 3.26~27일 일반국민 1,000명(제주포함)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였음.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

□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o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해 사과 없는 상태에서 북한에대한 식량지원은 국민들 다수가 반대(69.4%) 하였음.

  - 매우 찬성(4.5%), 찬성(22.7%), 반대(38.2%), 매우 반대(31.2%)

 o 또한,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에 대해 북한의 사과후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36.3%를 차지하였음.

   - 정부차원에서 적극 협력(29.8%), 비정치적 사안임으로 민간차원에서 협력(24.7%), 북한과는 절대 협력하면 안됨(5.6%)순으로 응답하였음.

 o 통일준비를 위한 평가 및 통일재원 마련에 있어서

   - 우리사회의 통일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다가 80.3%로 대다수 의견이었음.

   - 통일재원 마련 필요성에 공감하는 의견이 73.6%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재원 마련 방법으로는 46.6%가 기금 조성을 선호하였음.

   * 국민성금(12.1%), 세금(9.8%), 채권발행(8.0%), 해외자본(5.6%)

 o 통일 및 대북인식에 있어서는

   - 통일에 대한 열망이 70.8%, 통일에 대한 관심도는 75.4%를 차지하였음.

    * 통일 열망 : 72.9%(’10.3월)→71.1%(’10.6월)→66.7%(’10.9월)→61.7%(’10.12월)
    * 통일 관심 : 75.6%(’10.3월)→75.3%(’10.6월)→72.9%(’10.9월)→72.9%(’10.12월)

   -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 민족이니까 39.1%, 안보불안 해소 26.7%, 선진국이 되기 위해 14.9%, 북한사람의 자유로운 삶을 위해 11.7%, 이산가족 재회 3.4%순으로 응답하였음.


    * 고령층?저학력층일수록 한 민족이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저연령층?고학력층일수록 안보불안 해소 이유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는 도와줘야할 계층으로 40.7%가 인식하고 있음.

   - 또한, 북한은 57.7%가 협력대상 이라는 의견이었음.

 o 원칙 있는 대북정책에 대한 지지도와 수행 평가에 있어서는

    - 우리 국민 47.5%는 정부의 원칙 있는 대북정책을 지지하고, 43.0%가 대북정책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하였음.

    * 대북정책 지지도 : 47.8%(10.3월)→42.3%(10.6월)→44.2%(10.9월)→50.0%(10.12월)

    * 대북정책 수행평가 : 44%(’10.3월)→39.9%(10.6월)→41.0%(10.9월)→38.9%(10.12월)

 o 북핵문제 우선 해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60.7%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56.0%였음.
 
 o 북한의 군사적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74.5%로 다수이며, 우리나라 군사안보 상황에 대해서는 위험하다는 의견이 71.8%를 차지하고 있음.

    * 도발 가능성 : 52.3%(’10.3월) → 52.0%(’10.6월) → 59.5%(’10.9월) → 71.3%(’10.12월)
    * 군사안보 상황 : 47.8%(’10.3월) → 63.5%(’10.6월) → 64.4%(’10.9월) → 86.0%(’10.12월)

통일부 대변인
 

첨부파일

저작권표시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안내
통일부의 통일 및 대북문제 관련 여론조사 결과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관리부서 :
    전부서(공통) 전부서(공통)
  • 전화번호 :
    1577-1365
  • 콘텐츠 최종 수정일 :
    2023-11-2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