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일부

메뉴시작
주메뉴 닫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전체메뉴

통일부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2023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작성자
관리자
작성자
익명
작성일
2024-03-16
조회수
8406
주관부서 : 국립통일교육원 미래세대교육과

미래 세대들의 통일 인식을 제고시켜 나가겠습니다 .

북한의 도발 때문에 학생들의 통일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지다 .

-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통일부와 교육부는 학생 및 교사들의 통일 인식 , 통일교육 현황 등을 하기 위해 전국 시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2023 10 20 부터 1 1 20 일까지 2023 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를 실시하였습니다 .

  *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는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 4항**에 근거, 2014년부터 시행

  **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학교의 통일교육 진흥) ④통일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제목 없음.png 이미지입니다.

□  2023 년에도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학생 및 교사들의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

 o 학생들의  통일 필요 인식은 감소하면서  통일 불필요 ’  인식은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교사들의  통일 필요 ’  인식도 감소하였습니다.

  * 통일 필요: △( 초중고 )(’20) 62.4% → (’21) 61.2% → (’22) 57.6% → (’23) 49.8%

                         △( 교사 )(’20) 87.9% → (’21) 85.6% → (’22) 86.7% → (’23) 82.5%

  * 통일 불필요: △( 초중고 )(’20) 24.2% → (’21) 25.0% → (’22) 31.7%→ (’23) 38.9%

                             △( 교사 )(’20) 9.3% → (’21) 10.8% → (’22) 11.0% → (’23) 14.6%

 -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통일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 불필요 이유: △( 학생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 (’22) 27.9% → (’23) 28.6%

                                               (통일의 경제적 부담) (’22) 22.7% → (’23) 27.9%

                             △( 교사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 (’22) 42.1% → (’23) 42.5%

                                                (통일의 경제적 부담) (’22) 23.8% → (’23) 25.5%

 - 특히,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도는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통일 관심도( 관심없음 ) (’20) 20.2 %  →  (’21) 22.4 %  →  (’22) 27.0%  →  (’23) 28.3%

                            ( 관심있음 ) (’20) 50.5 %  →  (’21) 50.9 %  →  (’22) 47.4%  →  (’23) 43.7%

 o ‘북한으로 인해 한반도 군사적 충돌 분쟁 가능성이 있다 는 인식도 높게나타났습니다.

  * 충돌 분쟁 가능성 ( 초중고 △(전혀 없다) 1.6% △(별로 없다) 12.6% △(잘 모름) 5.3%  ( 약간 있다 ) 56.5%  ( 많이 있다 ) 24.1%

                                         ( 대학생 △(전혀 없다) 4.7% △(별로 없다) 16.7% △(잘 모름) 3.4%  ( 약간 있다 ) 55.7%  ( 많이 있다 ) 19.5%

                                         ( 교 사 △(전혀 없다) 1.1% △(별로 없다) 4.4% △(잘 모름) 23.9%  ( 약간 있다 ) 50.6%  ( 많이 있다 ) 15.0%

 o 한편, 북한을  협력 ’  대상 으로 보는 인식은 감소하였으며 경계 적대 ’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증가하였습니다.

  * 북한은 협력 대상( 학생 )(’22) 38.7% → (’23) 32.1% (↓6.6%)( 교사 )(’22) 76.9% → (’23) 73.5% (↓3.4%)

  * 북한은 경계 대상( 학생 )(’22) 38.1% → (’23) 43.5%(↑5.4%) ( 교사 )(’22) 11.8% → (’23) 14.4%(↑2.6%)

  * 북한은 적대 대상( 학생 )(’22) 10.9% → (’23) 12.5%(↑1.6%) ( 교사 )(’22) 2.5% → (’23) 3.3%(↑0.8%)

 - 남북관계가  평화롭지 않다 는 인식도 증가하였습니다.

  *평화롭지 않음( 학생 )(’22) 55.7% → (’23) 56.0%(↑0.3%) (교사 )(’22) 72.5% → (’23) 75.6%(↑3.1%)

 o 또한, 북한 사회는  변하지 않고 있다 는 인식이 해마다 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 북한사회 변화( 변하지 않고 있음 ) (’20) 33.4 %  →  (’21) 36.3 %  →  (’22) 44.9%  →  (’23) 51.6%

                                ( 변하고 있음 (’20) 48.6 %  →  (’21) 43.5 %  →  (’22) 36.4%  →  (‘23) 31.5%

□  학교에서는  교과수업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통일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습니다

 o 학생 77.5%가 교과 수업 시간에 통일교육 내용을 학습했다고 답변하였으며, 교사들은 교과수업(85.7%)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56.4%) 등다양한 시간에 통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습니다.

  - 교사들의 실제 수업방법은 ‘강의(설명식 교육)’가 주를 이룬 반면, 학생들은 ‘동영상 시청’, ‘현장견학 등 체험학습’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 교사들은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공감대 및 분위기 조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변하였습니다.

□  통일부와 교육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일선 교사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면서  체험학습 등  다양한 통일교육 콘텐츠 개발 보급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

 o 미래 세대가 통일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통일‧ 북한 문제에 대한 표준교재 개발 등을 통해 학교 현장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을 늘려 나가겠습니다.

 o 아울러 올해 청소년 2만여명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형 현장견학 프로 그램을 실시하고, 학교통일 체험교육도 작년에 비해 30% 확대‧운영(‘23년254회 → ’24년 330회)할 계획입니다.

□  또한 통일부와 교육부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통일교육을 확대하여 미래 세대인  우리 학생들이 통일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통일의 방향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붙임 :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내용 1부.  끝.

첨부파일

저작권표시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안내
통일부의 「2023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관리부서 :
    전부서(공통) 전부서(공통)
  • 전화번호 :
    1577-1365
  • 콘텐츠 최종 수정일 :
    2023-11-2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