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일부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

메뉴시작
주메뉴 닫기
검색하기
통합검색
주메뉴 버튼

통일부소식

보도자료

본문영역

보도자료

북한이탈주민 복지의 사각지대 축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 실시

작성자
관리자
작성자
익명
작성일
2022-01-06
조회수
9820
주관부서 : 인도협력국 정착지원과

북한이탈주민 복지의 사각지대 축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 실시
- 2021년 하반기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지원 결과 발표 -

 

□ 통일부는 2021년 11월 26일부터 12월 27일까지 약 1개월간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를 실시하여 북한이탈주민 1,226명을 대상으로, 1,418건의 맞춤형 지원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보도자료 1.png 이미지입니다.

□ 이번 조사는 2019년 9월에 수립된 ‘북한이탈주민 생활안정 종합대책’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경제적・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이탈주민을 발굴하여 맞춤형 지원을 연계하기 위해 실시하였습니다.

 o 국내 거주 북한이탈주민 중에서 ‘보건복지부 33종 위기지표 해당자에서 보건복지부의 추가적인 필터링을 통해 추출한 고위험군(518명)’과 ‘통일부의 집중 사례관리 대상자(1,064명)’ 등 총 1,582명을 선별하고, 전화 및 방문조사를 병행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o 아울러, 조사의 내실화 및 효율화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 및 지원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지역적응센터(이하 하나센터)에 배포하였습니다. 또한 조사 진행 전에 개인정보 등의 제공동의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등 북한이탈주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적극 노력하였습니다.
□ 조사 대상자 1,582명 중에서 추가확인이 필요한 50명(3%)을 제외한 1,53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완료하였습니다.

 o 주요 문제(중복 응답)로는 ‘생계’라고 답한 사람이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o ∆교육・진학(22%) ∆정신건강(20%) ∆가족관계(4%) 등 정서적・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한 사람이 전체의 47%를 차지했습니다.

보도자료 2.png 이미지입니다.

 o 한편, 조사 대상자의 71%는 2개 이상의 복합적 문제가 있다고 답변하였습니다.

□ 조사를 통해 파악한 문제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자 1,582명의 77%인 1,226명에 대해서 1,418건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o 후속지원은 지자체의 긴급복지지원금을 우선 지급하고 남북하나재단의 긴급생계비를 보충적으로 지급하여 중복지원 가능성을 없애고, 하나센터를 통한 정서적・심리적 지원을 강화하여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의 실질적 보호를 위한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o 구체적으로는 ∆남북하나재단을 통한 생계지원(105건) ∆지자체의 사회보장급여 연계(112건) 등 시급한 필요에 따른 현금성 지원과 함께, 하나센터를 통한 사회서비스 제공(1,201건)을 병행할 예정입니다.

   - 더 나아가, 하반기 조사 시점에는 사례관리 대상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42명을 사례관리 대상자로 신규 편입할 예정입니다.

 o 한편, 조사 대상자 중에서 ∆위기상황 미해당(160명) ∆지원거부(104명) ∆기지원 대상(34명) ∆시설입소・장기입원(8명) ∆추가확인 필요대상(50명) 등 356명은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다만, 실거주지나 연락처 파악이 불가능해 ‘추가확인 필요대상’으로 분류된 50명에 대해서는 2022년 상반기 조사대상에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나갈 계획입니다.
□ 이번 조사를 포함하여, 2019년부터 총 6차례에 걸친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지원을 통해 3,075명을 대상으로 4,641건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게 됩니다.

 o 세부 지원내용은 ∆재단 생계지원 1,306건 ∆지자체 사회보장급여 연계 783건 ∆하나센터 사회서비스 제공 2,552건 등입니다.

□ 정부는 취약계층 조사・지원 외에도, 2021년도에 제3차 정착지원 기본계획(’21년~’23년) 및 시행계획(’21년)을 통해, 경제적 지원은 물론 정서적・심리적 지원에 이르기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 서비스를 크게 강화하였으며, 그 결과 주요 정착지표도 개선되었습니다.

 o 이 중에서 2021년도에 이루어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강화를 위한 주요 제도개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도자료 3.png 이미지입니다.

 o 이를 통해, 2021년도 북한이탈주민의 ∆월평균 임금 ∆평균 근속기간 ∆한국생활 만족도 ∆학업중단율 등 주요 정착지표도 개선되었습니다.

    * (’17년→’21년(잠정치)) ∆임금근로자 월평균임금(178.7만원→227.7만원) ∆평균 근속기간(25.2개월→31.3개월) ∆한국생활 만족도(73.6%→76.5%) ∆학업중단율(2.0%→1.2%)

□ 정부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어려움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련 지원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북한이탈주민 복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입니다.

 

 ※ 붙임1  2021년 하반기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지원」 개요 1부

     붙임2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제도 주요 내용 1부

     붙임3  제3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기본계획(’21년~’23년) 체계도 1부.  끝.

첨부파일

저작권표시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안내
통일부의 북한이탈주민 복지의 사각지대 축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 실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관리부서 :
    전부서(공통) 전부서(공통)
  • 전화번호 :
    1577-1365
  • 콘텐츠 최종 수정일 :
    2023-11-20
TOP